입력받은 배열의 i번부터 j번 안에서 k번째로 작은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문제 1.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
Kruskal & Prim Algorithm을 Python으로 구현해보고 해당 알고리즘에 대해 분석해보자 Kruskal Algorithm 그래프 이론에서 사용되는 그래프 최소 신장 트리 (Minimum Spanning Tree,MST)를 찾는 알고리즘 중 하나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연결하면서 가중치가 작은 간선들로 이루어진 트리를 구성 간선의 가중치 기반 선택 사이클 방지 그리디 알고리즘 그래프의 모든 간선을 가중치 순으로 정렬 정렬된 간선 목록을 처음부터 순회하면서 사이클을 형성하지 않는 간선 선택 선택한 간선을 트리에 추가 > 해당 알고리즘을 통해 MST를 리턴 G = { 'vertices' : [], 'edges': [] } parent = dict() rank = dict() def initial..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